본문 바로가기
IT 상식

메모리 속도 확인

by comflex 2025. 4. 8.
728x90
반응형

ram

MT/s vs MHz — 메모리 속도 단위, 뭐가 다르고 뭘 봐야 할까?

컴퓨터 부품 정보를 확인하다 보면, 특히 메모리(RAM) 관련해서 자주 보이는 단위가 있습니다. 바로 MT/sMHz입니다. 얼핏 보면 비슷한 숫자인데, 도대체 뭐가 다른 걸까요?
이 글에서는 이 두 단위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점, 실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걸 기준으로 봐야 하는지를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MT/s와 MHz의 기본 개념부터 이해하자

MHz (메가헤르츠)란?

MHz는 "메가헤르츠(Megahertz)"의 약자로, 초당 몇 번의 클럭(진동)이 일어나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즉, 1MHz는 1초에 100만 번의 주기가 있다는 뜻입니다.

컴퓨터 부품에서 MHz는 주로 클럭 속도(Clock Speed)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CPU, GPU, 메모리 등 다양한 부품의 속도를 설명할 때 등장합니다.

MT/s (Mega Transfers per Second)란?

MT/s는 "Mega Transfers per Second"의 약자로, 초당 데이터 전송 횟수를 의미합니다.
이 단위는 실제로 메모리에서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전달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왜 두 개의 단위가 있는 걸까?

이해를 돕기 위해 DDR 메모리 구조를 간단히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DDR 메모리란?

DDR(Double Data Rate) 메모리는 말 그대로 클럭 신호 한 번에 데이터 두 번을 전송하는 구조입니다.
즉, 클럭이 1번 뛸 때 데이터는 2번 왔다 갔다 합니다. 이게 바로 Double Data Rate의 핵심입니다.

반응형
728x90

예를 들어 볼까요?

만약 메모리 클럭이 1600MHz라면, 실제 데이터는 클럭이 한 번 뛸 때 두 번 전송되므로:

  • 1600MHz × 2 = 3200MT/s

즉, 메모리 스펙에 DDR4-3200이라고 쓰여 있다면,

  • 내부 클럭 속도는 1600MHz
  • 데이터 전송 속도는 3200MT/s

이런 식으로 해석해야 맞습니다.

✅ 정리: DDR 메모리는 MT/s 값이 MHz 값의 두 배로 나타납니다.


MT/s와 MHz, 실제 표기에서는 어떻게 다를까?

메모리 제조사나 마더보드 사양표를 보다 보면 다음과 같은 표기를 자주 보게 됩니다.

  • DDR4-2666
  • DDR5-5600
  • 3200MHz RAM

여기서 혼동하기 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숫자만 보고 "MHz"라고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MT/s 단위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 DDR4-3200 → 3200MT/s (실제 클럭은 1600MHz)
  • DDR5-5600 → 5600MT/s (실제 클럭은 2800MHz)

즉, 우리가 흔히 부르는 "3200MHz 램"은 정확히는 3200MT/s 램입니다. 다만, 소비자 혼동을 줄이기 위해 마케팅에서는 일부러 MHz처럼 표기하기도 합니다.


CPU-Z로 확인하면 왜 반토막 난 값이 보일까?

컴퓨터 정보 확인 도구인 CPU-Z로 메모리를 확인하면, 예상보다 낮은 숫자가 보일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DDR4-3200 램인데 CPU-Z에서는 1600MHz로 표기된다면?

  •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그게 정상입니다.
  • CPU-Z는 실제 클럭(MHz)만 표시하고, MT/s는 ×2로 계산해서 봐야 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걸 봐야 할까?

일반 사용자라면?

  • 제품 패키지나 마더보드 호환표에 있는 MT/s (DDR4-3200, DDR5-5600 등)만 보면 충분합니다.
  • 대부분의 메모리 호환성 표기나 BIOS 설정도 MT/s 기준으로 되어 있습니다.

오버클럭, 튜닝 유저라면?

  • 실제 클럭(MHz) 단위를 알고 있어야 XMP, EXPO, 수동 세팅 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예: 원하는 3600MT/s 성능을 얻기 위해 1800MHz로 클럭 설정

혼동 줄이기: 표기 기준 정리

표기 의미 단위 환산
DDR4-3200 3200번 전송 MT/s 1600MHz × 2
1600MHz 클럭 주파수 MHz 3200MT/s ÷ 2
CPU-Z에서 보이는 수치 클럭 주파수 MHz 직접 2배 계산해야 실제 성능 파악 가능

마무리하며

MT/s와 MHz는 모두 메모리 성능을 나타내지만 완전히 같은 개념은 아닙니다.
MT/s는 실제 데이터 전송 속도, MHz는 그 기반이 되는 클럭 속도이죠. DDR 메모리에서는 1클럭 당 2번 전송하기 때문에 MT/s = MHz × 2 공식이 성립합니다.

컴퓨터 부품을 구매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이 개념만 제대로 이해하고 있으면, 숫자만 보고도 어떤 성능인지 파악할 수 있고, 불필요한 혼동도 줄일 수 있습니다.

 

[IT 상식] - XMeters 시스템 리소스 사용량 확인(메모리, CPU)

 

XMeters 시스템 리소스 사용량 확인(메모리, CPU)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매번 작업관리자를 실행해서 CPU, GPU, Memory의 사용량을 매번 확인하는게 너무 번거로워서 괜찮은 유틸리티가 있나 찾아보던 중 XMeters라는 프로그램을 알게되어 소개합니다.

com-flex.tistory.com

[IT 상식] - 메모리(RAM) 용량 및 속도 확인

 

메모리(RAM) 용량 및 속도 확인

윈도우에서 메모리 용량과 속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고 성능 탭에서 메모리를 선택하면 용량과 속도를

com-flex.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