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파이썬(Python) 크롤링(Crawling)
크롤링(crawling)은 웹 상에 존재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기술입니다. 일반적으로 검색 엔진은 크롤러(crawler)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웹사이트를 자동으로 순회하며, 웹페이지의 정보를 수집합니다. 그런 다음 검색 엔진은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검색을 수행할 때 적절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크롤링은 검색 엔진 외에도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사이트나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크롤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사이트는 공공 정보나 정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크롤링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웹 사이트는 크롤링을 허용하지 않거나 제한적 상황에서 허용합니다. 이는 웹 사이트의 서버와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거나 정보 제공자의 의도와 다르게 정보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크롤링을 수행할 때는 웹 사이트의 정책을 준수하고, 웹 사이트의 서버와 네트워크 자원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크롤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합니다. 인터넷에는 여러 가지 크롤링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ython, Java, Ruby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크롤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인기 있는 라이브러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Beautiful Soup: 파이썬으로 작성된 HTML과 XML을 파싱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 Selenium: 웹 애플리케이션을 자동화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웹 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어서, 자동으로 웹 페이지를 읽고 스크래핑할 수 있습니다.
- Puppeteer: 크롬 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자동으로 웹 페이지를 읽고 스크래핑할 수 있습니다.
Selenium에 대한 내용은 다음 링크 [프로그래밍/파이썬(Python)] - 셀레니움(Selenium)를 참고해 주세요.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 파이썬(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 Pandas Series, Dataframe index #1 (0) | 2022.12.30 |
---|---|
셀레니움(Selenium) (2) | 2022.12.28 |
파이썬(Python) 그래프 그리기(matplotlib) (4) | 2022.12.25 |
파이썬(Python) Excel 파일 읽고 쓰기 (0) | 2022.12.17 |
Google Colab 파일 업로드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