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13

cross_val_score란? cross_val_score란?cross_val_score는 사이킷런(scikit-learn)에서 제공하는 함수로,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을 수행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를 여러 개의 폴드(fold)로 나누고, 각 폴드를 한 번씩 검증 데이터로 사용하면서 모델을 훈련하고 평가하는 방식입니다.1. cross_val_score의 동작 방식교차 검증은 데이터셋을 K개의 폴드로 나누고, 각 폴드를 한 번씩 검증 데이터로 사용하며 K번 훈련 및 평가를 반복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모델이 특정 데이터에 과적합(overfitting)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주요 과정:데이터를 K개의 폴드로 나눕니다.K-1개의 폴드로 모델을 학습합니다.남은.. 2025. 3. 29.
Python 축(axis) Python에서 axis란?Python의 axis 개념은 주로 NumPy와 pandas 같은 라이브러리에서 다차원 배열을 다룰 때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데이터 분석과 머신러닝을 할 때, axis를 올바르게 이해하면 연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1. axis(축)의 개념axis는 다차원 배열에서 연산을 수행할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입니다.axis=0: 행을 따라 연산 (세로 방향)axis=1: 열을 따라 연산 (가로 방향)이를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2차원 배열(행렬)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import numpy as np# 3x3 행렬 생성arr = np.array([[1, 2, 3], [4, 5, 6], [7, 8, 9]])print.. 2025. 3. 28.
확률적 경사 하강법 (SGD, Stochastic Gradient Descent) 확률적 경사 하강법 (SGD, Stochastic Gradient Descent)머신러닝과 딥러닝에서 가장 중요한 최적화 알고리즘 중 하나인 확률적 경사 하강법(SGD, Stochastic Gradient Descen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이란?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 GD)은 손실 함수(Loss Function)를 최소화하기 위해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최적화 기법입니다. 보통 머신러닝 모델이 학습할 때, 손실(loss)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중치(weight)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2. 확률적 경사 하강법(SGD)란?SGD는 경사 하강법의 한 변형으로, 전체 데이터셋을 사용하지 않고 랜덤하게 선택한 하나의 데이터 포인트(샘.. 2025. 3. 27.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선형 회귀 분석데이터 과학과 통계학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널리 사용되는 분석 기법 중 하나가 바로 선형 회귀 (Linear Regression)입니다. 선형 회귀는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모델링하여, 독립 변수의 변화에 따른 종속 변수의 변화를 예측하거나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선형 회귀란 무엇일까요?선형 회귀는 주어진 데이터에서 독립 변수(feature 또는 explanatory variable)와 종속 변수(target 또는 response variable) 사이의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직선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간단히 말해, 두 변수가 얼마나 강하게, 그리고 어떤 방향으로 관련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측을 수행하는 통계적 방법입니다.단순.. 2025. 3. 27.
After Detailer(ADetailer) After Detailer 란 스테이블 디퓨전 사용시 얼굴 뭉개짐을 방지할 수 있는 확장 기능 입니다.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설치 방법 Stable Diffusion을 먼저 실행합니다. "Extensions" 탭을 선택합니다. "Install from URL" 을 클릭합니다. "URL for extension's git repository"에 다음의 주소를 입력합니다.(https://github.com/Bing-su/adetailer.git) "Install" 버튼을 클릭합니다. 잠시 후 "Installed into stable-diffusion-webui\extensions\adetaile" 메시지가 출력될때까지 기다립니다 재시작을 위해 "Installed" 탭을 클릭.. 2023. 5. 11.
XMeters 시스템 리소스 사용량 확인(메모리, CPU)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매번 작업관리자를 실행해서 CPU, GPU, Memory의 사용량을 매번 확인하는게 너무 번거로워서 괜찮은 유틸리티가 있나 찾아보던 중 XMeters라는 프로그램을 알게되어 소개합니다.시스템 트레이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너무 편리합니다. 다운로드 사이트 이동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사이트로 이동 후 오른쪽 위의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저는 무료 버전을 다운로드 했습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다운로드 완료 후 프로그램 설치를 진행합니다. 라이선스 동의 후 Install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 완료 후 Launch 버튼을 클릭해 환경을 설정합니다. 저는 CPU와 Storage, Me.. 2023. 5. 3.
결정론적 의사결정 vs 통계적 의사결정 결정론적 의사결정과 통계적 의사결정은 두 가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결정론적 의사결정 명확하게 정의된 문제에 대해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해결합니다. 이 방법에서는 가용한 정보를 사용하여 문제에 대한 가능한 모든 해결책을 평가한 후, 최선의 선택을 내립니다. 결정론적 의사결정 방식은 특히 작은 문제나 간단한 상황에서 효과적입니다. 통계적 의사결정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의 선택에서 불확실성이나 불확정성을 고려합니다. 이 방법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문제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합니다. 통계적 의사결정 방식은 주로 복잡한 문제나 대규모의 데이터를 다룰 때 효과적입니다. 또한 결정론적 의사결정은 단기적인 이익을 중시하고, 직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 2023. 4. 16.
메모리(RAM) 용량 및 속도 확인 윈도우에서 메모리 용량과 속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고 성능 탭에서 메모리를 선택하면 용량과 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시된 것처럼 메모리 용량은 16GB이고 속도는 4800MHz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컴퓨터 하드웨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CPU-Z라는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 하드웨어 및 시스템 정보를 출력해 주는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입니다. 다운 받으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https://www.cpuid.com/softwares/cpu-z.html CPU-Z | Softwares | CPUIDCPU-Z is a freeware that gathers informati.. 2023. 4. 14.
휴대폰(스마트폰) 컴퓨터 파일 전송 및 공유(Nearby share) 휴대폰과 컴퓨터간에 파일을 공유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겪었던 적이 있을것입니다. 방법이 다양해서 좋을 수도 있지만 오히려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지 잠시 고민하게 되는 경우도 많은것 같습니다. 방법이 너무 많아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잘 기억도 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USB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파일을 이메일로 보내거나 클라우드 서비스에 업로드해야 했을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에 있는 "휴대폰과 연결"이라는 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삼성 휴대폰과 삼성 노트북을 사용한다면 Quick shar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삼성 노트북에서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노트북에서 사용하려면 약간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합니다. 아직 베타 버전이지만 Windows용 Near by Share를 사용하면 안드로.. 2023. 4. 9.
728x90
반응형